본문 바로가기
신체건강

축구 경기 중 골절 발생 시 대처 방법

by 최사빠 2025. 2. 16.
반응형

축구 축구 경기 중 골절 발생 시 대처 방법

축구는 격렬한 신체 접촉이 많은 스포츠로, 경기 중 골절과 같은 부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이러한 상황에서 적절한 응급처치는 부상자의 회복과 추가 손상을 방지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.

축구 경기 중 골절 발생 시 필요한 대처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.


축구 경기장 잔디


1. 골절의 증상과 유형


골절은 뼈가 금이 가거나 부러지는 상태를 말하며,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:

극심한 통증과 부종

비정상적인 관절 움직임 또는 기형

피부 변색 및 출혈(개방성 골절의 경우)


골절은 폐쇄성(뼈가 피부를 뚫지 않은 경우)과 개방성(뼈가 피부를 뚫고 나온 경우)으로 나뉩니다. 개방성 골절은 감염 위험이 높아 더욱 신속한 처치가 필요합니다.


2. 응급처치의 기본 원칙


골절 발생 시 초기 응급처치는 PRICE 원칙에 따라 진행됩니다.

Protection(보호): 손상 부위를 움직이지 않도록 보호합니다.

Rest(휴식): 다친 부위를 사용하지 않고 안정시킵니다.

Ice(얼음찜질): 얼음찜질로 부종과 통증을 줄입니다.

Compression(압박): 탄력 붕대로 부위를 감싸 출혈과 부종을 억제합니다.

Elevation(거상): 손상 부위를 심장보다 높게 올려 혈류량을 줄입니다.


3. 골절 고정 방법



골절 의심 시 가장 중요한 것은 손상 부위를 고정하는 것입니다:

가능한 한 상태 그대로 고정하며, 움직이지 않도록 합니다.

부목 등을 사용해 손상 부위 위아래 관절까지 포함하여 지지합니다.

고정 후 혈액순환 상태를 확인합니다. 손끝이나 발끝이 차갑거나 감각이 없으면 즉시 조치를 수정해야 합니다.


4. 개방성 골절 대처법



개방성 골절의 경우 추가적인 주의가 필요합니다:

출혈이 심할 경우 깨끗한 천으로 지혈합니다.

뼈를 억지로 밀어 넣으려 하지 않습니다.

감염 방지를 위해 상처를 깨끗하게 유지하며, 가능한 한 빨리 병원으로 이동합니다.


5. 병원 이송 전 주의사항



응급처치 후에는 반드시 전문 의료기관으로 이송해야 합니다. 이송 중에는 다음 사항을 유의하세요:

환자의 의식 상태와 호흡을 지속적으로 확인합니다.

목이나 척추 손상이 의심되면 환자를 평평한 곳에 눕히고 움직이지 않도록 합니다.

개방성 골절의 경우 추가적인 압박이나 얼음찜질은 피해야 합니다.


결론!

축구 경기 중 발생하는 골절은 적시에 적절히 대처하면 회복 가능성이 높아집니다.

위의 응급처치 방법을 숙지하고, 상황에 맞게 신속히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반응형